"모기 없는 지상낙원은 끝났다"…'얼음의 나라' 아이슬란드 뚫렸다

2025.10.22. 오후 05:44
 '얼음의 나라'라는 별명이 무색하게, 아이슬란드의 청정 자연에 마침내 불청객이 등장했다. 아이슬란드 자연과학연구소의 곤충학자 마티아스 알프레드손은 수도 레이캬비크 인근에서 '줄무늬모기' 3마리가 포획되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는 아이슬란드 자연환경에서 모기가 서식하고 있음이 사상 처음으로 확인된 역사적인 사건이다. 그동안 아이슬란드는 혹독하게 추운 기후 덕분에 남극과 더불어 지구상에 몇 안 되는 '모기 없는 지상낙원'으로 불려왔다. 과거 항공기 내부에서 북극 모기 종이 발견된 적은 있었으나, 이는 외부에서 유입된 개체일 뿐 자연 서식이 확인된 사례는 아니었다. 이번에 발견된 모기들은 나방 채집용 덫에 스스로 들어온 것으로, 단순한 유입을 넘어 이미 현지 환경에 적응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학계에 큰 충격을 던졌다.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는 지구 온난화가 지목된다. 영국 가디언지는 아이슬란드가 북반구의 다른 지역보다 무려 4배나 빠른 속도로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실제로 거대한 빙하가 녹아내리고, 과거에는 볼 수 없었던 따뜻한 바다의 어종이 잡히는 등 기후 변화의 징후는 곳곳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길어진 여름과 따뜻해진 겨울은 모기 유충이 겨울을 나고, 성충이 활동할 수 있는 기간이 길어지는 등 번식에 유리한 조건이 만들어졌다는 분석이다. 혹독한 추위라는 천연 방어막이 기후 변화 앞에서 서서히 허물어지면서, 과거에는 생존할 수 없었던 모기가 뿌리를 내릴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발견자인 알프레드손은 성급한 결론을 경계하며 또 다른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는 단순히 기후가 따뜻해졌다는 사실만으로 이번 현상을 모두 설명하기는 어렵다고 보았다. 대신, 최근 해외에서 들어온 선박이나 화물 컨테이너를 통해 모기 성충이나 유충이 유입되었을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실제로 국제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외래종이 새로운 지역으로 퍼져나가는 사례는 전 세계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이번에 발견된 줄무늬모기 종이 비교적 추운 기후에 잘 적응하는 특성을 가졌다는 점은, 이들이 아이슬란드의 변화된 환경에 성공적으로 정착했을 수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기후 변화와 인간 활동이라는 두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이제 아이슬란드 과학계의 시선은 다가오는 봄으로 향하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3마리가 일회성으로 유입된 개체인지, 아니면 이미 안정적인 개체군을 형성하고 번식을 시작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만약 내년 봄에도 모기가 발견된다면, 이는 아이슬란드가 더 이상 '모기 청정국'이 아님을 공식적으로 인정해야 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얼음의 나라’에서 울리기 시작한 작은 모기의 날갯짓은 기후 변화와 생태계 교란이라는 거대한 위협이 더 이상 먼 나라의 이야기가 아니라, 지구 최후의 보루로 여겨졌던 곳까지 깊숙이 침투했음을 알리는 경고음으로 들리고 있다.